PMBOK 내용을 빠르게 이해하기 위한 방법
PMBOK 전체를 빨리 이해하는 나름의 방법을 소개한다. PMBOK는 10개 지식 영역과 5개 프로세스 그룹, 그리고 49개의 프로세스들로 구성되어있다.
우선적으로 익숙해져야 할 것은 프로젝트관리 지식 분야와 프로세스 그룹간의 관계를 표시한 49개프로세스에 대한 내용이다. 이들을 매핑한 테이블인 “표4-1.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 그룹과 지식 영역 간 연결 관계”를 복사하거나 직접 작성하여 책상 앞과 같은 항상 눈에 보이는 곳에 붙여 놓고 수시로 들여다 보면서 익숙해져야만 한다. 이는 PMBOK 전체를 파악하는데 필수적이라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다음으로는 49개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각 프로세스의 도구 및 기법은 단순한 학습을 통하여 극복할 수 있지만 프로세스들 사이의 관계, 특히 서로 다른 지식 분야와 서로 다른 프로세스를 넘나들면 상호 작용하는 Input과 Output 사이의 관계들을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PMBOK를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그 이유는 PMP 시험에서도 직간접으로 해당 프로세스의 INPUT을 묻는 문제들이 출제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49개 각 각에 대한 데이터 흐름도 만을 복사하거나 직접 그려서 준비한 후에 수시로 그 그림을 보면서 상호 관계들을 파악해 보는 것을 권장한다.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란, 단순히 표현하면 “프로젝트관리 업무”를 말한다. 단지 그 형식을 INPUT(입력물)과 OUTPUT(출력물)이라는 형식으로 표현한 것뿐이다. 이는 업무를 프로세스 형식으로 표현하여, 관리나 개선을 목적으로 가시화시키기 위한 목적을 갖고있는 것이다. 하나의 업무를 대상으로 프로세스 형식으로 표현한다면, 관련된 사람들이 이 업무를 이해하고 습득하기 쉬우며, 개선이나 응용이 용이하다는 것이다. PMBOK은 하나의 프로젝트관리 업무 결과가 다른 업무들에 영향을 미치는 등 상호 관계가 밀접하기에 49개의 프로세스 형식으로 프로젝트관리 업무를 표현하고 있다.
49개의 프로세스의 INPUT을 모두 암기하지는 못하더라도 해당 프로세스의 INPUT인지 아닌지를 구분할 수는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억지로 외우기 보다는 여러 차례 학습을 반복하여 익숙해져야 한다. 특히 막연히 읽기보다는 해당 INPUT 항목이 그 프로세스의 OUTPUT를 산출하는데 왜 필요한지를 상상하면서 읽기를 권장한다. 위 그림의 예를 보면, 조리된 라면이라는 OUTPUT을 만들기 위해서 조리법이라는 INPUT은 “어떻게 조리하는지에 대한 방법”이 필요하다는 이유를 생각하는 것이다. 모든 INPUT들은 그 OUTPUT을 위한 필요성(이유)가 존재한다. 이를 생각하는 것이 빠른 기억법이 될 수 있다.
7.2 원가 산정 프로세스를 예로 들어 본다. 다음 그림은 7.2 원가 산정 프로세스의 데이터 흐름도이다.
원가산정 프로세스의 대표적 산출물은 “원가 산정치”이다. 원가 산정치를 생산하기 위해서, 우선 프로젝트관리 계획서의 “원가관리계획서”가 INPUT에 있다. 원가관리 계획서는 원가산정 및 원가통제 등의 원가를 관리하는 방법과 기준이 들어 있기에 필요한 문서이다. 특히 원가를 어느 정도 수준까지 정확하게 혹은 정밀하게 산정(추정)할지에 대한 기준이 원가관리계획서에 명시되어 있기 때문이다. 원가관리계획서는 원가를 관리하는 방법, 즉 원가 산정, 예산 결정, 원가 통제의 방법과 기준이 계획되어 있으므로 원가 산정에 이를 참고한다. 예를 들면, 원가 측정 단위는 원(\)화로 하며, 정밀도 수준은 백만원 단위에서 절상하고, 정확도 수준은 ( + - )10% 정도로 한다는 기준을 준수한다. 다음으로 “품질관리 계획서”가 INPUT으로 필요한 이유는 품질 활동 및 품질관리에 필요한 자원에 대한 원가도 원가산정에 반영해야 하기에 필요한 정보이다. 또한 프로젝트 문서에 해당하는 “프로젝트 일정”이나 “자원요구사항”이 INPUT으로 필요한 이유는 각 활동의 인건비 산정을 위해서는 “자원의 양 x 기간 x 단가(임률)”로 계산하며, 재료비의 경우에는 “수량 x 단가”로 계산하기에 프로젝트 일정의 기간에 대한 정보나 자원요구사항의 인적 및 물적 자원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에 있는 “리스크관리대장”에 식별된 리스크를 고려하여 원가 산정에 반영해야 할 때 유용한 정보이다. 이와 같이, 각 INPUT 사항들은 프로세스에서 필요로 하는 이유가 모두 존재하면, 이를 염두에 두고 이해하여는 노력을 해야 한다. 아울러 그림과 같이 각 산출물들은 다시 어느 프로세스의 INPUT으로 이용되는지에 대한 조사와 함께, 그 프로세스에서 왜 필요한 정보가 되는지 생각해야 한다.
이렇게 프로세스의 산출물이 다른 프로세스에 어떻게 적용되는가 혹은 왜 필요한 정보인가를 파악하면서 7.2 원가 산정 프로세스의 흐름을 이해한다. 이 때 해당 프로세스로 가서 그 Input으로 사용되는 것을 확인하는 것도 필요하다. 예를 들면, 활동원가 산정치가 11.2 리스크 식별 프로세스로 연결된다면, 11.2 리스크 식별 프로세스의 정보 흐름도로 가서 직접 눈으로 확인하며, 다른 Input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확인하고 돌아오는 것도 빠른 흐름 파악에 도움이 된다.
다시 한번 강조한다면, PMBOK을 이해하기 위한 빠른 방법으로는, 전체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 그룹과 지식 영역 간 연결 관계를 프로세스 중심으로 파악하는 것과, 각 프로세스의 정보 흐름도를 통하여 다른 프로세스와의 관계들을 빨리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49장의 그림만을 들고 당장 시작할 것을 적극 권장한다.
마지막으로는 프로젝트관리 지식분야, 프로세스 그룹, 프로젝트 생애주기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프로젝트 생애주기와 프로세스 그룹의 관계를 우선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먼저 프로세스 그룹들은 중첩되어 발생한다는 사실을 이해해야 하며, 동시에 아래 그림에서 “시작”과 “종료”라고 표시된 부분이 반드시 프로젝트 시작과 종료를 의미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아주 간단한 프로젝트일 경우 처럼 프로젝트 생애주기가 1개의 단계로 구성되지 않는 이상, 일정 규모 이상의 프로젝트에서는 생애주기가 여러 단계가 되므로 그 시작과 종료는 “단계의 시작”과 “단계의 종료를 의미한다. 즉, 5개 프로세스 그룹은 프로젝트 매 단계마다 반복적으로 발생된다는 점이다.
그림에서 생애주기 첫 단계의 “착수” 프로세스는 프로젝트의 착수이지만, 각 단계의 착수 프로세스는 단계를 착수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각 단계의 끝에 있는 종료 프로세스는 “단계 종료”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기획” 프로세스는 프로젝트 초반에 이루어지는 것인데, 이 그림을 보면 기획 프로세스가 프로젝트 후반에도 계속 수행되는 것으로 표시되기에 의문을 가질 수 있겠다. 대부분의 기획 프로세스는 프로젝트 초반에 이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계획에 대한 점진적 구체화로 “기획” 프로세스가 지속되기도 하고, 프로젝트 후반에는 일부 계획의 변경이 발생하여 “계획” 프로세스를 수행하기도 한다. 이런 이유로 프로젝트 내내 기획 프로세스가 발생한다고 상상하면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프로젝트관리의 10개 지식분야, 5개 프로세스 그룹, 그리고 해당 프로젝트의 생애주기를 정확히 이해한다면, 다음과 같은 통합된 그림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림은 이 세가지 요인을 3차원으로 표시한 것으로, 우측 상단의 앞에 있는 하나의 업무를 파악해보면 기획 프로세스에 해당하는 품질관리 업무로서 분석 단계에서 수행되는 업무라고 파악할 수 있겠다. 이러한 개념이 익숙해지기 위해서는 앞서 언급한 내용들이 모두 익숙해져야만 한다.